|
사실 역사교육 방안에 대한 수립 과정은 그동안 다사다난했다. 2007년 개정에서 ‘6단위, 역사, 필수’ 정책이 세워졌지만 시행조차 되지 않았고, 2009년에는 ‘선택’으로 바뀌었다가 다시 ‘6단위, 한국사, 필수’로 전환됐다. 과목명을 ‘역사’로 하고 한국사와 세계사를 병행하는 ‘필수, 6단위’로 한 것은 한국사의 틀에 갇혀서 주변국 역사를 폄훼하면 안 되었기 때문이었다.
현행 한국사 교과서와 과거 한국 근현대사 교과서가 ‘편향’과 ‘왜곡’이란 비판을 받게 된 원인은 소위 ‘민족주의 사관’ 및 ‘민중주의 사관’에 토대를 두고 있다고 판단됐기 때문이다. 즉, 대부분 국사교육 강화 조치는 일본과 중국의 역사침탈에 자극받아 나타났고, 우리 인접국의 역사왜곡 현상이 나타날 때마다 들끓었던 ‘냄비여론’에 떠밀려 대두됐다.
하지만, 국사교육에서 고려해야 할 중요한 핵심은 ‘국제화’ 수용이다. 일본과 중국의 자국 중심 역사교육을 지켜보면서 우리 스스로도 극단적인 민족주의에 빠진다면 그들과 다를 게 없다. 역사교육의 핵심이 ‘민족’이 아닌 ‘국민’이 돼야 하는 이유다. 대한민국의 국가주의를 표현하는 ‘국민주의 사관’이 돼야 하는 것이다.
무엇보다 전문성이 요구되는 교과서 집필에는 대학교수 및 연구기관 전문가 등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교육 현장의 경험 또한 반영돼야 하는 만큼 교사들을 자문 및 검토 위원으로 참여시키는 것으로 해결책을 찾아야 한다.
저작권자 © 독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