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서신문] 이경여는 조선 후기의 문신이다. 효종 때 영의정으로 배청파의 기수가 됐다. 훈련대장 이완 등을 기용해 북벌을 계획했으나 청나라의 간섭으로 꿈을 이루지 못했다. 호는 백강(白江)이다. 청나라에 의해 심양에 구금됐다가 소현세자와 함께 귀국했다. 문집엔 백강집이 있다.이경여는 전라도 관찰사 임무를 마친 1634년에 임금께 글을 올린 뒤 2년 동안 부여에 머문다. 쉰이 된 아들은 쇠약한 칠순의 어머니를 지극정성으로 봉양한다.
정무로 인해 뜸했던 독서에 많은 시간을 할애한 그는 가장으로서 가정교육에도 힘을 쓴다. 아들들과 조카들을 수시로 불러 훈육했다. 그의 가문이 조선 최고의 명가로 싹이 트는 씨앗을 뿌린 시기였다. 이같은 훈육은 3대 연속 문형을 비롯해 5명의 정승과 9명의 판서를 비롯해 수십 명의 당상관이 나오는 토양분이 되었다.
이 때 아들들과 조카들이 지표로 삼을 수 있도록 쓴 글이 ‘백강공수잠장도명’에 새겨져 있다. 그는 사람으로서 경계하고 행해야 할 내용을 자녀들을 위해 수시로 글을 지었다. 그 일부를 1659년에 후손이 집안에 길이 남기기 위해 작은 칼에 적어 넣은 것이다.
이경여는 50년 삶을 되돌아볼 때 시간을 헛되이 보낸 아쉬움이 많다는 안타까움을 표현하면서 자녀들의 정진을 요구했다. 그는 ‘시간은 빨리 가고 청춘은 다시 오지 않는다. 지금 힘써 공부하지 않으면 훗날 후회하여도 소용이 없다. 아! 슬프다. 나는 50평생을 헛되이 보내고 빈곤한 생활을 한탄하고 있으니 무슨 소용이랴. 오직 너희들에게 늙은 아비가 경계하는 것이다’라며 구용구사를 생활신조로 삼도록 당부했다. 이경여는 12가지 지침을 아들들과 조카들에게 내렸다. 12가지는 크게 효, 처세, 독서에 관한 것이다. 12가지 내용이 백강공수잠장도명에 새겨져 있다.
1. 어버이에게 문안부터 하라
아침에 일찍 일어나 잠을 깬 뒤 동틀 무렵에 세수를 한다. 이어 머리를 빗고 의관을 정제한 뒤 어버이 방에 가 문안을 올린다. 어버이에게 깔끔한 모습으로 인사를 한다. 자녀의 번듯한 모습에 어버이가 안심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 어버이를 공경하고 형을 잘 따르고 집안과 친족에게 극진해야 한다.
2. 마음을 가다듬어라
어버이 문안을 마치면 자기 방으로 가 이부자리를 개고 책상을 정돈하는 게 순서다. 방안을 정리한 후에는 단정히 앉아 참선을 한다. 명상을 통해 정신을 가다듬고 마음을 집중하는 힘을 얻도록 한다.
3. 외우고 깊이 생각하라
배운 것을 외운다. 몇 번을 읽고 또 읽어서 외우고 깊이 생각해 참 뜻을 알아낸다. 글의 음과 뜻을 자세히 분석하고 파고들어 내용을 완전히 이해한다. 조급한 성취심리에 취하지 말고 차분하게 하라.
4. 몸을 낮추고 배움을 행동으로 옮겨라
학문을 열심히 해 공자와 맹자의 가르침을 받들어 후진을 양성하라. 행동과 마음이 다 공경함에 일치해야 하다. 몸을 낮춰서 기쁨으로 행할 것이다.
5. 사리사욕을 경계하라
은밀한 곳에서 혼자 있을 때 사사로운 잡념이 싹트지 않도록 마음을 정제하고 노여운 생각이 들지 않도록 여유롭고 큰 마음을 갖는다. 사사로운 욕심에서 멀어져라.
6. 행동은 신중히 하라
사람을 대할 때는 항상 공손하고 정성을 다하며 행동은 신중히 하라.
7. 질문을 하라
사람에게는 장단점이 있다. 모르는 것이 있으면 반드시 물어라. 나의 단점을 고치고, 남의 장점을 본받아라. 그러면 착한 사람이, 덕을 쌓은 사람이 될 수 있다.
8. 적게 먹어라
음식을 적게 먹고 의복을 깔끔하게 입어야 몸과 마음의 질병에서 멀어진다. 정신과 기문을 기를 수 있다.
9. 사치와 화려함을 멀리하라
사치와 화려함은 모든 악의 원인이 될 수 있고, 값진 장식품도 좋은 뜻을 손상시킬 수 있다.
10. 여자를 멀리하라
음란한 소리와 어여쁜 여인은 마음을 버리기에 가장 쉬운 유혹이다. 이런 생각은 문과 벽으로 막듯이 하고 예가 아니면 보지도 듣지도 말고, 말하지도 말고 움직이지도 말라.
11. 하루에 세 번 반성하라
마음을 정갈히 하는 데는 반성의 시간이 필요하다. 하루에 세차례는 필히 나의 행동을 뒤돌아보고 반성해야 한다.
12. 이로움이 아니라 의로움을 따르라
세상사는 의로운 게 있고, 나에게 이로운 게 있다. 그러나 의로움과 이로움은 분야가 다르니 잘 살펴야 한다. 나를 위하거나 남을 위할 때도 참됨과 거짓이 있으니 그 구분을 명확히 할 수 있어야 한다.
/ 이상주 (『세종대왕 가문의 500년 야망과 교육』 『유머가 통한다』저자)
저작권자 © 독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